윤 대통령 “국민소통·현장소통·당정소통 강화하라”
![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 어린이정원에서 열린 제63차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. [사진 대통령실]](https://pds.joongang.co.kr/news/component/htmlphoto_mmdata/202310/17/0809adcc-ca9b-488b-9e03-fa55e8e86620.jpg)
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앞 어린이정원에서 열린 제63차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. [사진 대통령실]
“총알도 없고,윤대통령국민소통현장소통당정소통강화하라 손발도 묶인 상황이다.” 10·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후 국정 쇄신 요구가 빗발치는 상황에서 대통령실 관계자가 16일 한 말이다. 59조원으로 추산되는 역대 최대 세수 결손으로 재정 여력이 없고, 거대 야당의 반대로 민생법안 통과도 어려운 현실을 이렇게 빗댔다.
윤석열 대통령이 이날 소통을 강조한 것도 이런 현실적 제약과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. 윤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“국민 소통, 현장 소통, 당정 소통을 더 강화해 달라”고 주문했다. “차분하고 지혜롭게 변화를 추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”(13일)고 밝힌 이후 나온 두 번째 공개 메시지다. 윤 대통령은 아울러 “경제 활성화를 위한 현장 행보를 해야 한다”면서 “민생 타운홀 미팅 개최”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. 대통령실 관계자는 “국민이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윤 대통령이 민생 현장에서 국민들의 고충을 직접 듣고 대응책도 점검하는 차원에서 분야별 타운홀 미팅을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”고 말했다.
선거 패배 뒤 대통령실 참모들은 김대기 비서실장 주재로 연일 국정 쇄신 방안을 두고 난상토론을 벌여왔다. 특히 정부가 국정과제를 추진할 때마다 “국민에게 ‘왜’라는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”는 강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고 한다. 한 참모는 “정치는 국민과 공감을 해야 하는 건데, 돌이켜보니 설득만 하고 있었다”는 아쉬움도 전했다. 이런 과정에서 윤 대통령의 불통 이미지가 강화됐다는 게 참모들의 진단이다. 당정 소통 강화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“정책 당정을 보다 활성화하겠다”며 “당은 늘 현장에서 유권자를 대하기 때문에 당정 소통 강화는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것”이라고 말했다.
下一篇:'Violent crimes induced by noise disputes increased tenfold since 2016'
相关文章:
- N. Korea closes 7 embassies, now down to 46, says Seoul
- Coupang Play seeks turnaround with exclusive content
- Japan preparing to bring back some 20 S. Koreans from Israel, along with its own nationals: reports
- 尹 대통령 "국립대병원 중추로 육성" 의료인력 확충 필요성 강조
- Warmer winter temperatures expected this week
- [Herald Interview] Park Youn
- Registration opens for offshore firms' FX trading
- Japan preparing to bring back some 20 S. Koreans from Israel, along with its own nationals: reports
- Boeing eyes more Chinook helicopter exports to S. Korea
- Mirae Asset Securities to buy back shares worth W60b
相关推荐:
- N. Korea closes 7 embassies, now down to 46, says Seoul
- Seoul shares end nearly 2% lower amid Middle East woes
- LG Energy Solution's new residential ESS to hit US market
- LIG Nex1 seals global defense ties at Seoul ADEX 2023
- [Korean History] Deadly sinking of Navy ship in 2010 marks worst postwar military disaster
- Lotte Cinema to screen NBA game
- Samsung Biologics expansion ahead of schedule
- LIG Nex1 seals global defense ties at Seoul ADEX 2023
- Lucy returns with 'Boogie Man'
- Cha Medical to hold global forum on next
- Drunk driver who killed father of two gets 10 years
- Blackpink survives 7
- Boeing eyes more Chinook helicopter exports to S. Korea
- 5 cities in Japan splashed with Seventeen
- Drug demand rises over surge in ‘walking pneumonia,’ flu
- Drunk driver who killed father of two gets 10 years
- Storing away for a more compact life
- Yoon's approval rating drops to 33%: Yonhap News Survey
- Experts forecast US
- [Herald Review] ‘Our Season’: a relatable story for all moms and daughters
- Two Koreans named among world's top 200 art collectors
- 내년 총선, 정부여당 견제론 44% 지원론 44% '동률' [NBS]
- [From the Scene] Incheon Airport goes global to Batam, Indonesia
- LG Energy Solution names new CEO to propel growth
- [Herald Interview] ‘Digital paradigm shift to VR will happen 2026’
- Seoul shares almost flat after Fed minutes, Nvidia results
- German ambassador advocates 'de
- Leeum Museum ecological project starts Dec. 1 with Chanel Culture Fund
- Dunamu CEO set for third term
- Dreamcatcher returns as 'villains' with special power